●소스 코드 분석

분석을 위해서 화면을 띄우게만 수정했습니다.

 

1.@Controller는 이 클래스가 컨트롤러라는 것을 스프링에 알려주는 용도입니다.

 

  @Controller가 붙어있는 클래스 안에 있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10번째 줄의 @Controller를 주석 처리 한 후 http://localhost:8080/......로 접속해보면 404에러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5번째 줄은 뷰로 값을 전달하는 코드이고, "serverTime"은 key이고, "테스트"는 value입니다.

 

  실제로 jsp파일을 확인해보면

 

  이 중 12번째 줄의 ${serverTime}의 key값에 value를 표시하는 겁니다.

 

2.@RequestMapping은 파라미터와 같은 요청이 왔을 경우 아래 메소드를 수행시키는 용도입니다.

  쉽게 말해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어떤 메소드를 실행시킬지를 매핑해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Encoding

로컬에서 페이지를 띄웠을 때 글자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이것은 인코딩 필터만 넣어주면 쉽게 해결됩니다.

 

1. web.xml에 필터를 추가

2. jsp도 추가수정

위의 이 부분에

이렇게 추가해주세요.

 

그런다음 다시 로컬을 돌려보면

 

이렇게 한글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sp에도 필터를 추가해줘야 하는 이유는 web.xml에 추가한 인코딩에 대한 부분은 컨트롤러에서 뷰로 넘겨줄 때만 적용되기 때문에 뷰에 대한 인코딩 설정은 jsp파일에 별도로 해줘야 합니다.

'프로그래밍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프로젝트 만들기  (0) 2020.06.06
[spring] 스프링 설치  (0) 2020.06.05
[Spring] 스프링(Spring) 정의 및 특징 정리  (0) 2020.06.05

1.eclipse는 설치완료 후.

 

2.싸이트에 들어가서나 eclipse market에서 spring 설치는 완료했다면.

 

그 다음으론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맨위 File - > New -> Other 에 들어가서 Spring Legecy Project로 들어가주세요

 

※만약에 Spring Leagecy Project가 안나올경우

 

eclipse market에 들어가서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3.9.11 을 설치해줍니다.

 

귀찮아서 프로젝트 이름은 대충 Spring으로 지음.

 

그 다음 패키지네임을 써달라는건데요

대충 1111.2222.3333 , first.second.third 처럼 경로가 두개 이상 안에 있게 패키지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그 후 중요한 거~~~~!!!!!!

[ pom.xml ]의 자바버전을 자기가 설치한 버전으로 바꿔준다.

 

<properties>
<java-version>1.6</java-version>

--->이 부분을 수정. 1.6→1.8로 

※설치한 자바버전 확인은 아래링크로 확인

https://mumulife.tistory.com/2?category=855676
<org.springframework-version>3.1.1.RELEASE</org.springframework-version>
<org.aspectj-version>1.6.10</org.aspectj-version>
<org.slf4j-version>1.6.6</org.slf4j-version>
</properties>

 

 

그 후 Spring 폴더에서 오른쪽 버튼 후 Run As -> Run on Server 로 눌러주세요~

 

아까 설치한 톰캣을 써야 하니깐 Apache 에 Tomcat v8.5를 선택 후 진행!!!

 

완료 후 [Spring]을 실행시킬 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완료.

 

 

 

 

 

 

 

 

'프로그래밍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코드 분석 && Encoding  (0) 2020.06.17
[spring] 스프링 설치  (0) 2020.06.05
[Spring] 스프링(Spring) 정의 및 특징 정리  (0) 2020.06.05

스프링 설치는 사이트에 들어가 다운받은 후 설치를 진행하거나

사이트 주소 : https://spring.io/tools#suite-three

 

eclipse내에서 [Help] → [Eclipse Marketplace] 에서 spring 검색 후 insert를 실행하자.

 

'프로그래밍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코드 분석 && Encoding  (0) 2020.06.17
[spring] 프로젝트 만들기  (0) 2020.06.06
[Spring] 스프링(Spring) 정의 및 특징 정리  (0) 2020.06.05

●스프링이란? 

 

   - 자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1. IoC / DI
     오브젝트의 생명주기와 의존관꼐에 대한 프로그래밍 모델.
     객체지향 설계 원칙과 디자인 패턴의 핵심 원리를 담고 있으며 프레임 워크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스프링이 직적 제공하는 모든 기술과 API, 심지어 컨테이너도 IoC/DI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다.
  2. 서비스 추상화
     이식성이 뛰어나다.(서버, 특정 기술에 종속 되지 않는다.)
  3. AOP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산재해서 나타나는 부가적인 기능을 독립적으로 모듈화 하는 프로그래밍 모델이다.
   - 스프링

 

 

스프의 특징

 

  1. 단순함 (simplicity)
     스프링은 EJB라는 강한 권위를 가졌던 표준 기술을 비판하면서 등장했다.
     EJB가 복잡한 반면 스프링은 단순하고 명쾌한 접근 방법.
     자바의 본질인 객체지향 언어라는 특징을 다시 살릴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구.
     그래서 스프링이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단순한 객체지향적인 개발 모델인 POJO 프로그래밍이다.
  2. 유연성 (flexibility)
     유연성, 확장성이 매우 뛰어 나다.
     스프링의 기능 대부분은 핵심 기능을 확장해서 발전시킨 결과물이다.
     스프링은 9년간 단 한번도 코드 베이스를 흔들거나 새로 만드는 일 없이 발전해왔다.
     스프링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스프링을 필요에 맞게 확장하여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프로그래밍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코드 분석 && Encoding  (0) 2020.06.17
[spring] 프로젝트 만들기  (0) 2020.06.06
[spring] 스프링 설치  (0) 2020.06.05

+ Recent posts